2025년 3월 25일, 보건복지부가 개선된 ‘2025년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발표하였다.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이란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지역을 대상으로 산부인과 시설, 장비비, 운영비 등을 제공하며 인프라를 확충하는 사업을 말한다. 세 가지 분만취약지 분만 취약지는 세 가지 등급으로 나뉜다. 첫 번째 기준은 ‘60분 내 분만이 가능한 의료기관에 접근이 불가능한 인구 비율 30% 이상’이며, 두 번째는 ‘60분 내 분만 의료 이용률 30% 미만’이다. 이 기준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면 ‘A등급 분만취약지’, 둘 중 한 가지만 충족하면 ‘B등급 분만 취약지’가 된다. ‘C등급 분만 취약지’는 분만 산부인과 운영을 위한 최소 배경 인구수(2025년 기준 37,707명)에 못미치는 경우를 가리키며 주로 도농복합시·군 지역이 여기에 해당된다. 병원에 최대 10억 지원 보건복지부는 그 동안 취약지역의 임산부가 안전하게 분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이번 ‘2025년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금을 크게 늘렸다. 보건복지부가 분만취약지로 선정하면 해당 지역의 의료기관은 시설·장비비로 1년에 최대 10억 원과 운영비로 최대 5억원을 받게
최근 나는SOLO에서 솔로남 솔로녀들이 데이트를 할 경우 출산 문제가 빠지지 않고 등장했는데 실제 통계 조사에서도 결혼 후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25년 3월 19일에 방송된 ‘나는SOLO’ 에서 25기 광수는 미경에게 출산에 관한 묻는다. 같은 날 데이트를 한 25기 상철과 순자의 데이트에서도 출산에 관한 질문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2025년 3월 19일에 방송된 ‘나는SOLO’ 2 대 1 데이트에서 광수가 미경에게 출산에 대한 묻고 있다. (13분 13초) <해당영상 바로가기> 광수: 어... 저 물어보고 싶은 게 미경: 아, 나한테도 궁금한 게 있어요? 뭔데요? 광수: 결혼과 출산에 대해서 사회적인... 압박인건지... 미경: 저는 아이를 갖고 싶고, 결혼도 하고 싶지만, 그 때의 문제인 것 같아요. 내가 진정 사랑하고 싶은 사람을 만났을 때 하는 거지... 2025년 3월 19일에 방송된 ‘나는SOLO’ 상철과 순자의 데이트 장면에서 상철이 순자에게 출산에 대해 묻고 있다.(11분 20초) <해당 영상 바로가기> 상철: 저희가 아무래도 이제 결혼 위주로 하는... 그런 관심이 있는 프로그램
서울 마포구에서 시행하는 각종 저출산, 난임부부지원, 산후 관리 정책이 지자체의 모범 사례가 되고 있다. 산전.산후관리 및 난임부부 지원 정책 마포구에 거주하는 모든 난임 부부에게 인공수정 시술비, 약제비 등을 지원하는 난임부부의료비 지원 건수는 2023년 1,353건에서 2024년 2,639건으로 약 95% 증가했다. 또한, 출산 가정을 위해 산전·산후 우울증 등 정신 검사를 1,837명에게 시행했고, 검사 결과 고위험군의 경우에는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관련 기관에 연계해 집중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출생아 1인당 100만 원 바우처를 지원하는 산후조리 경비도 2,999건을 지원해 적절한 산후 회복을 도왔다. 또한 임신 준비 부부교실, 토요 예비부모 교실, 출산준비교실 등 2024년 총 157회의 교육이 열렸고, 2,285명이 참여해 출산과 양육 준비에 큰 도움을 받았다. 비혼모 지원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비혼 출산 지원 정책이 있다. 프랑스는 비혼모 출산 비율이 2022년 기준 64%이며 스웨덴도 57.8%로 절반 이상의 신생아가 비혼 가정에서 태어난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비혼 출산 비율은 2019년 2.3%에서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