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구(구청장 김성수)는 청사포 다릿돌전망대와 해월전망대의 운영시간을 연장했다. 12~2월 겨울철에는 오후 8시, 3~5월과 9~11월 간절기는 오후 9시, 6~8월 여름철에는 오후 10시까지 운영한다. 오픈 시간은 전처럼 오전 9시로 동일하다. 야경을 즐기려는 주민과 관광객의 요구가 많아 지난해 9~12월 오후 8시까지 시범운영한 결과, 월 평균 4~5만 명이던 방문객이 2배로 급증해 운영시간을 확대했다. 구는 지난해 7월, 청사포 다릿돌전망대를 기존 73m 일자형에서 191m U자형으로 연장하고 인근에 해월전망대를 새로 조성했다. 해월전망대는 길이 137m로 초승달 모양의 주탑과 U자 모양의 스카이워크, 직경 15m의 원형 광장이 있다. 해월전망대는 해운대블루라인파크 미포 정거장에서 청사포 방향으로 1.1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청사포 다릿돌전망대는 2.9km 떨어진 곳에 있다. 해안선을 따라 걷거나, 전망대마다 해변열차 간이역이 있어서 해변열차를 타고 야경을 관람할 수 있다. 전망대 조명과 밤바다 야경이 어우러진 이색 풍경이 인기를 끌고 있다.
달이 떴다! 2001년 7월 1일 미국에서 개봉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A.I에는 매우 인상적인 장면 하나가 있다. 고장난 로봇들이 밤에 로봇 폐기장으로 모여 고장난 부품을 스스로 고치는데 한 로봇이 놀라며 소리친다. “달이 떠 오른다! (Moon on the rise!)” 이 말이 끝나자마자 주연 배우 주드로를 배경으로 거대한 달이 떠오르는 장면이 이어지고 A.I로봇들은 겁에 질려 달아나기 시작한다. 암울한 디스토피아적인 풍경으로 가득한 이 장면에서 달은 '가스 기구'를 이용한 로봇 포획 장치였다. 100일 2만 명 탑승 매출 5억 그러나 23년 후 서울에 뜬 달은 무시무시한 포획 기구가 아니다. '달'과 모양이 비슷한 ‘서울 달’은 운행을 시작한지 100일 만에 탑승객 2만 명을 돌파하며 서울의 명물로 자리 잡았다. 지난 8월 23일(금) 정식 개장 후 불과 3개월 만에 이뤄낸 성과이며 매출액은 5억 원에 이르고 운행 회수도 ▲1,800회를 넘겼다. 서울시 제공 연인들과 외국인에게 인기 여의도 상공 130m 높이에서 매력적인 도시 서울의 모습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고 특히 해질 무렵 서울의 노을과 야경을 감상할 수 있는 야간관광 명소이기 때문에 연
대덕생태공원 ∼ 행주산성역사공원 ∼ 고양한강공원 ∼ 장항습지 ∼ 일산대교까지 이어지는 한강하구 관광벨트가 완성되었다.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한강하구 공동연구 및 경기·생태·역사 관광벨트 조성사업'의 일환이자 마지막 사업인 행주산성 수변데크길 조성 공사를 지난 22일 완료했다고 밝혔다. 시에서 발표한 이 구간은 행주 산성부터 방화대교 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750m, 폭 2.2m의 수변 데크 길이기 때문에 청춘 남녀가 산책하며 데이트하기 좋은 명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양시 한강하구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장항습지와 대덕생태공원 등 생태자원은 물론, 행주산성 등의 역사자원까지 두루 품은 관광자원이다. 그러나 지난 50여 년간 한강하구는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군 순찰로로 사용되어 시민들의 접근이 어려웠다. 군 병력이 철수한 이후 고양시는 방치돼 있던 막사 3개소(장항, 신평, 행주)를 리모델링하고 순찰로 주변 정비 등을 통해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조성했다. 이번 공사를 통해 노약자와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무장애 보행로를 설치해 불편했던 보행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관광객들에게 한강변의 자연경관을 감상하며 걷는 특별한 체험을
대청호는 가을이 무르익으며 기온이 내려가자 그동안 대청호를 괴롭혔던 녹조현상이 사라지고 파릇한 호숫물에 울긋불긋한 단풍이 드리워 절경을 이루며 관광객들이 늘어 가고 있다. 보은군 회남면을 관통하는 571번 지방도는 대청호라는 큰 호수와 수목이 어우러진 빼어난 풍경으로 드라이브 코스로도 유명하다. 보은군 회남면 대청호 금곡공원까지는 서울 여의도에서 약 2시간 15분(평일 기준)이면 도착할 수 있다. 금곡공원은 대청호의 상류에 위치한 공원이다. 여기서부터 남쪽으로 2Km를 더 내려가면 남대문공원이 나온다. 남대문공원은 대청호를 끼고 있어서 탁 트인 대청호 풍경을 즐길 수 있다. 남대문 공원을 지나 200미터를 더 올라가면 남대문 대교가 나온다. 대청호를 가로지르는 다리이다. 이곳을 지나서 좌회전하여 250미터를 내려가면 ‘전망 좋은 곳’이 나온다. 대청호 주변 도로는 2차로인데 굽이치듯 대청호를 끼고 돌아가는 지방도가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를 만들어낸다. 남대문공원부터 3.5km를 더 가면 회남대교를 지나게 된다. 양쪽으로 펼쳐진 호수 전망이 일품인데 회남대교 끝나는 지점에는 호수 전망으로 유명한 카페 금린이 있다. 회남면 일대는 1980년 대청댐 건설로 상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