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한국의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한 20,717명을 기록하며 1991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이는 혼인 건수의 증가와 출산 가능 인구 확대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혼인 건수 4.9% 증가 한국은 혼외출산 비율이 낮기 때문에, 혼인 건수가 출산율의 주요 선행 지표로 작용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출산 증가는 작년 이후 혼인 증가, 30대 초반 여성 인구 증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2025년 4월 혼인 건수는 18,92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하며 1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는 1991~1995년생 ‘에코붐 세대’(2025년 기준 30~34세)가 결혼과 출산의 주요 연령대에 본격 진입한 영향도 크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30~34세 여성 인구는 165만 명으로, 2020년 대비 약 9% 늘었다. 출산 적령기 여성 인구가 증가하면서 출생아 수에도 긍정적인
2025년 3월 25일, 보건복지부가 개선된 ‘2025년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발표하였다.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이란 분만 의료 이용이 어려운 지역을 대상으로 산부인과 시설, 장비비, 운영비 등을 제공하며 인프라를 확충하는 사업을 말한다. 세 가지 분만취약지 분만 취약지는 세 가지 등급으로 나뉜다. 첫 번째 기준은 ‘60분 내 분만이 가능한 의료기관에 접근이 불가능한 인구 비율 30% 이상’이며, 두 번째는 ‘60분 내 분만 의료 이용률 30% 미만’이다. 이 기준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면 ‘A등급 분만취약지’, 둘 중 한 가지만 충족하면 ‘B등급 분만 취약지’가 된다. ‘C등급 분만 취약지’는 분만 산부인과 운영을 위한 최소 배경 인구수(2025년 기준 37,707명)에 못미치는 경우를 가리키며 주로 도농복합시·군 지역이 여기에 해당된다. 병원에 최대 10억 지원 보건복지부는 그 동안 취약지역의 임산부가 안전하게 분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이번 ‘2025년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금을 크게 늘렸다. 보건복지부가 분만취약지로 선정하면 해당 지역의 의료기관은 시설·장비비로 1년에 최대 10억 원과 운영비로 최대 5억원을 받게
최근 나는SOLO에서 솔로남 솔로녀들이 데이트를 할 경우 출산 문제가 빠지지 않고 등장했는데 실제 통계 조사에서도 결혼 후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25년 3월 19일에 방송된 ‘나는SOLO’ 에서 25기 광수는 미경에게 출산에 관한 묻는다. 같은 날 데이트를 한 25기 상철과 순자의 데이트에서도 출산에 관한 질문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2025년 3월 19일에 방송된 ‘나는SOLO’ 2 대 1 데이트에서 광수가 미경에게 출산에 대한 묻고 있다. (13분 13초) <해당영상 바로가기> 광수: 어... 저 물어보고 싶은 게 미경: 아, 나한테도 궁금한 게 있어요? 뭔데요? 광수: 결혼과 출산에 대해서 사회적인... 압박인건지... 미경: 저는 아이를 갖고 싶고, 결혼도 하고 싶지만, 그 때의 문제인 것 같아요. 내가 진정 사랑하고 싶은 사람을 만났을 때 하는 거지... 2025년 3월 19일에 방송된 ‘나는SOLO’ 상철과 순자의 데이트 장면에서 상철이 순자에게 출산에 대해 묻고 있다.(11분 20초) <해당 영상 바로가기> 상철: 저희가 아무래도 이제 결혼 위주로 하는... 그런 관심이 있는 프로그램